본문 바로가기
Post

장수말벌 크기와 위험도

by 클릭스웰스 2023. 12. 14.
반응형

장수말벌 크기와 위험도

장수말벌은 맹독성 곤충이다

장수말벌은 말벌과의 곤충으로,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종류 중 가장 거대한 말벌이다. 몸길이는 3.5-4.5cm, 날개 편 길이는 7.5cm에 달하며, 몸무게는 25-50g에 이른다.

장수말벌은 동아시아의 온대-열대기후 지역에 분포한다.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낮은 야산과 삼림을 주로 선호한다.

장수말벌은 뚜렷하게 두드러지는 두순과 커다란 눈아래 뺨으로 다른 말벌들과 구분된다. 검은색 이빨이 돋은 주황색 큰턱은 땅을 파거나 먹이를 잡을 때 쓰인다. 흉부는 암갈색이고, 날개 한 쌍은 갈색이다.

장수말벌은 사회성 곤충으로, 일벌, 여왕벌, 수벌로 이루어진 집단을 형성한다. 일벌은 둥지를 짓고, 먹이를 구하며, 새끼를 돌본다. 여왕벌은 알을 낳고, 숫벌은 짝짓기를 한다.

장수말벌은 주로 꿀벌, 나비, 매미, 거미, 개미 등을 잡아먹는다. 특히 꿀벌을 주로 공격하며, 양봉장에 큰 피해를 입힌다.

장수말벌의 독은 꿀벌의 독보다 약 1.3배 정도 강하다. 장수말벌에 쏘이면 해당 부위가 심하게 붓고 아프며, 구토, 설사,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장수말벌은 최근 미국 서부 지역에서 발견되면서 큰 우려를 사고 있다. 장수말벌이 북아메리카에 정착할 경우, 양봉장과 생태계에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장수말벌의 생태

장수말벌은 봄부터 가을까지 활동한다. 봄에는 여왕벌이 겨울을 난 후 둥지를 짓고, 일벌을 키운다. 일벌은 여왕벌을 위해 먹이를 구하고, 새끼를 돌본다. 여름에는 일벌이 꿀벌을 잡아먹고, 그 독을 이용해 둥지를 지킨다. 가을에는 일벌이 죽고, 여왕벌은 겨울을 나기 위해 땅속에 숨는다.

장수말벌은 사회적 곤충으로,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다. 둥지는 나무 구멍이나 땅속에 짓는데, 둥지 크기는 지름이 1m 이상에 달할 수 있다. 둥지에는 수천 마리의 일벌과 여왕벌이 살 수 있다.

장수말벌은 주로 꿀벌을 잡아먹는다. 꿀벌은 장수말벌의 주요 먹이원이자, 장수말벌의 확산을 촉진하는 요인이다. 장수말벌은 꿀벌을 쫓아다니며, 꿀벌이 꿀을 모으는 동안 꿀벌을 쏘아 죽인다. 꿀벌이 죽으면 장수말벌은 꿀벌의 몸에서 독을 뽑아내어 자신의 둥지에 저장한다.

장수말벌은 인간에게도 위험한 곤충이다. 장수말벌에 쏘이면 해당 부위가 심하게 붓고 아프며, 구토, 설사,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장수말벌의 확산 방지

장수말벌은 최근 미국 지역에서도 발견되고 있고 그로 인해 양봉장과 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아시아 쪽에 많이 서식하지만 인간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확산을 방지해야 한다. 물론 자연의 일부이지만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개체 수를 조절하는 방안이 좋을 것이다.

반응형